Surprise Me!

[단독]“윗선 지시”…국정원, 2018년엔 파악하고도 덮었다

2023-01-18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가정보원이 민노총 인사들과 북한공작원의 해외 접촉을 파악한 시점이 2016년입니다. <br> <br>그런데 왜 2023년인 지금 수사가 이뤄지는 걸까요. <br> <br>취재 결과 국정원이 2018년 수사에 착수하려 했지만 윗선에서 보류시킨 것으로 알려졌습니다. <br> <br>2018년 4월 판문점 정상회담을 앞둔 시점이었거든요. <br> <br>우현기 기자의 단독 보도 이후 아는기자 이어갑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가정보원은 민노총 간부 등이 북한 공작원과 접촉을 하고 북한의 지령을 받은 정황을 2016년부터 파악했던 것으로 알려졌습니다. <br> <br>2018년 국정원 대공수사국은 본격적인 수사에 착수하려고 했지만, 당시 윗선에서 수사 확대에 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정보당국 관계자는 "윗선에서 '남북관계에 악영향을 준다. 지금 할 필요가 있냐, 조금 미루자'고 했다"고 전했습니다.<br> <br>2018년 초 문재인 정부는 남북정상회담을 성사시키기 위해 공을 들이고 있던 때였습니다. <br><br>당시 서훈 국정원장은 대통령의 대북특사로 북한을 방문했고 판문점 정상회담이 성사됐습니다. <br> <br>[김정은 / 북한 국무위원장(지난 2018년 4월)] <br>"대통령께서 이런 분계선까지 나와서 맞이해준 데 대해 정말 감동적입니다." <br> <br>[문재인 전 대통령(지난 2018년 4월)] <br>"여기까지 온 것은 위원장님 아주 큰 용단이었습니다." <br> <br>민노총 핵심 간부 사건 뿐 아니라 다른 간첩사건들도 같은 이유로 보류됐고 이후 수사에 큰 진척이 없었던 걸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수사가 보류되면서 이들은 그 후에도 해외를 오가며 활발히 북한 공작원을 만난 걸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국정원은 "진행 중인 수사와 관련된 구체적인 사항은 확인해 줄 수 없다"고 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김태균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